이상탐지 Anomaly Detection

비지도학습 기반 알고리즘 상세

Dungdanggi 2024. 8. 11. 16:23

최근 비지도 학습 기반의 이상탐지 모델에서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Transformer 등의 딥러닝 알고리즘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알고리즘들은 특히 복잡한 시계열 데이터, 텍스트, 그리고 이미지에서 유의미한 이상 패턴을 감지하는 데 적합합니다. 아래에서 각 알고리즘의 사용 사례, 데이터 특성, 이상 여부 평가 방법, 장점과 단점, 주의 사항 등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LSTM(Long Short-Term Memory) 기반 이상탐지

1) 사용 분야

  • 시계열 데이터: 금융 거래 데이터(이상 거래 탐지), 네트워크 트래픽(사이버 보안), 제조 공정 데이터(장비 고장 예측) 등에서 사용됩니다.
  • 의료 데이터: 심전도(ECG)나 혈당 수치 등의 생체 신호에서 비정상 패턴을 탐지하는 데 활용됩니다.

2) 데이터 특성

  • 시계열 데이터: LSTM은 순차적인 특성을 가진 데이터에 매우 적합합니다. 이 알고리즘은 과거의 상태를 기억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나는 데이터 간의 종속성을 학습하여 정상과 이상 패턴을 구분합니다.

3) 이상 여부 평가 메트릭

LSTM을 기반으로 한 이상탐지에서는 주로 재구성 오류(Reconstruction Error)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오토인코더 구조에서 LSTM을 활용하여 입력 시계열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원본과 비교합니다.

  • 재구성 오류: ( E_t = | X_t - \hat{X}_t |^2 )
    • 여기서 ( X_t )는 원본 시계열 데이터, ( \hat{X}_t )는 재구성된 시계열 데이터, ( | \cdot |^2 )는 유클리드 거리입니다.
    • 이 오류가 일정 임계값(Threshold)보다 크면 해당 시점의 데이터는 이상으로 간주됩니다.

4) 장점, 단점, 주의 사항

  • 장점:

    • LSTM은 데이터의 순차적 종속성을 잘 학습하며, 장기적 의존성(Long-term Dependency)을 캡처하는 데 유리합니다.
    •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에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모델 훈련에 많은 계산 자원이 필요하며, 학습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 데이터가 매우 긴 시퀀스를 가질 때, 과적합(Overfitting)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의 사항:

    • 적절한 임계값 설정이 중요합니다. 임계값이 너무 낮으면 많은 정상 데이터가 이상으로 탐지되고, 너무 높으면 이상을 놓칠 수 있습니다.
    • 시계열 데이터의 전처리 과정에서 정상 패턴의 노이즈와 실제 이상 신호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Transformer 기반 이상탐지

1) 사용 분야

  • 네트워크 이상 탐지: 네트워크 트래픽 데이터에서 비정상적인 트래픽 패턴을 탐지합니다.
  • 시계열 예측 및 이상탐지: 전력 소비 데이터, 주식 가격 변동 등의 시계열 데이터에서 예측을 통한 이상 탐지에 활용됩니다.
  • 자연어 처리(NLP): 텍스트 데이터에서 비정상적인 패턴(예: 사이버 보안에서 비정상적인 대화 패턴) 탐지에 사용됩니다.

2) 데이터 특성

  • 시계열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Transformer 모델은 순차적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텍스트 데이터에서의 이상 탐지에도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 모델은 데이터 간의 관계를 전역적으로 파악하여 이상 패턴을 감지합니다.

3) 이상 여부 평가 메트릭

Transformer 기반의 모델에서는 주로 예측 오류(Prediction Error)를 사용합니다. 모델이 시계열 데이터를 학습하여 미래 값을 예측하고, 실제 값과 비교합니다.

  • 예측 오류: ( E_t = | X_{t+1} - \hat{X}_{t+1} |^2 )
    • 여기서 ( X_{t+1} )는 실제 시계열 데이터의 다음 값, ( \hat{X}_{t+1} )는 모델이 예측한 값입니다.
    • 예측 오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해당 시점의 데이터는 이상으로 간주됩니다.

4) 장점, 단점, 주의 사항

  • 장점:

    • Transformer 모델은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어 학습 속도가 빠르며, 장기적인 의존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 복잡한 패턴을 잘 파악하며,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텍스트, 시계열 등)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모델의 복잡성으로 인해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할 때 상당한 계산 자원이 필요합니다.
    • Hyperparameter 설정이 민감할 수 있으며, 잘못 설정하면 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주의 사항:

    • 시계열 데이터에서는 데이터의 타임 스텝을 명확히 구분해야 하며, 텍스트 데이터의 경우 문맥의 의존성을 잘 반영하도록 전처리해야 합니다.
    • Transformer 모델의 결과는 매우 복잡할 수 있으므로, 해석 가능한 메트릭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장단점 비교 및 요약

  • LSTM:

    • 장점: 순차적 종속성을 잘 학습하며, 장기적인 패턴을 탐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단점: 학습 시간이 길고, 과적합 문제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 주의 사항: 적절한 임계값 설정과 전처리의 중요성.
  • Transformer:

    • 장점: 병렬 처리로 학습 속도가 빠르며, 복잡한 패턴을 파악하는 데 유리합니다.
    • 단점: 계산 자원이 많이 필요하고, Hyperparameter 튜닝이 중요합니다.
    • 주의 사항: 데이터의 전처리와 모델 해석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이 두 가지 방법은 모두 복잡한 데이터에서의 이상 탐지에 강력한 도구지만, 각 알고리즘의 특성과 적용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비지도 학습 기반의 이상탐지 분야에서는 LSTM과 Transformer 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용됩니다. 이들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특성과 문제 도메인에 따라 활용될 수 있으며, 각각 고유의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주요한 알고리즘으로 Variational Autoencoder(VAE), Isolation Forest, 그리고 One-Class SVM을 다루고, 앞서 설명드린 것과 유사한 구조로 정리하겠습니다.

1. Variational Autoencoder (VAE) 기반 이상탐지

1) 사용 분야

  • 이미지 데이터: 이미지 내에서의 이상 패턴 탐지(예: 제조업에서 결함 이미지 탐지).
  • 시계열 데이터: 금융 거래, IoT 데이터에서의 이상 탐지.
  • 의료 데이터: MRI, CT 등의 의료 영상 데이터에서 비정상적인 부분 탐지.

2) 데이터 특성

  • 다차원 연속형 데이터: VAE는 고차원 데이터의 잠재 공간(latent space)을 학습하여 데이터의 중요한 구조적 특징을 파악하는 데 적합합니다. 이미지나 복잡한 시계열 데이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3) 이상 여부 평가 메트릭

VAE에서는 데이터의 재구성 오류 또는 잠재 공간에서의 변화를 통해 이상 여부를 평가합니다.

  • 재구성 오류: ( E = | X - \hat{X} |^2 )
    • 여기서 ( X )는 입력 데이터, ( \hat{X} )는 재구성된 데이터입니다.
  • 잠재 변수의 변화: 잠재 공간에서의 변화(예: Kullback-Leibler divergence)를 통해 이상 여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4) 장점, 단점, 주의 사항

  • 장점:

    • 복잡한 데이터 분포를 모델링하는 데 강력하며, 잠재 공간을 학습하여 데이터의 구조적 특징을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재구성 오류 외에도 잠재 공간의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상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학습 과정이 복잡하고, 모델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의 분포를 정확히 모델링하지 못하면 이상 탐지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주의 사항:

    • 모델의 복잡성 때문에 과적합을 피하기 위한 적절한 정규화 기법이 필요합니다.
    • 잠재 공간의 해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적절한 차원 축소 기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Isolation Forest 기반 이상탐지

1) 사용 분야

  • 금융 사기 탐지: 신용 카드 거래 데이터에서 이상 거래 탐지.
  • 사이버 보안: 네트워크 트래픽에서 비정상적인 접근 시도 탐지.
  • 제조업: 생산 공정 데이터에서 비정상적인 이벤트 탐지.

2) 데이터 특성

  • 고차원 데이터: Isolation Forest는 다차원 데이터를 잘 처리하며, 이상치가 데이터 분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입니다.

3) 이상 여부 평가 메트릭

Isolation Forest는 데이터 포인트가 격리되는 데 필요한 분리 횟수를 기반으로 이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 격리 깊이(Depth of Isolation):

    • 트리를 통해 데이터 포인트를 분할할 때, 이상치의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분할로 격리될 수 있습니다.

    • 격리 깊이가 낮을수록 이상치로 간주됩니다.

    • 이 값을 기반으로 이상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평균 격리 깊이를 계산합니다:

    [
    S(x, n) = 2 \frac{H(i)}{C(n)}
    ]

    여기서 ( H(i) )는 특정 데이터 포인트 ( i )의 격리 깊이, ( C(n) )는 데이터셋의 평균 경로 길이입니다.

4) 장점, 단점, 주의 사항

  • 장점:

    • 고차원 데이터에서도 효율적으로 동작하며, 학습이 빠르고, 이상 탐지에서 높은 성능을 보입니다.
    • 비정상적인 데이터 포인트를 매우 효과적으로 격리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데이터의 분포에 민감하며, 데이터가 균일하게 분포된 경우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학습 과정에서 트리의 깊이에 따른 과적합 문제에 주의해야 합니다.
  • 주의 사항:

    • 이상치가 정상 데이터와 비슷한 밀도로 분포되어 있으면 탐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모델의 성능이 데이터셋의 크기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One-Class SVM 기반 이상탐지

1) 사용 분야

  • 이미지 및 비디오 분석: 객체의 이상 탐지(예: 영상 내에서의 이상 행동 탐지).
  • 바이오메트릭스: 생체 인식 데이터에서 비정상적인 사용자 활동 탐지.
  • 텍스트 데이터: 비정상적인 문서 또는 이메일 내용 탐지.

2) 데이터 특성

  • 고차원 및 비선형 데이터: One-Class SVM은 주로 고차원 데이터에서 이상치를 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비선형 경계로 데이터 분포를 분리할 수 있어, 복잡한 데이터에서도 효과적입니다.

3) 이상 여부 평가 메트릭

One-Class SVM은 주어진 데이터셋의 경계를 정의하고, 그 경계 외부의 데이터를 이상으로 간주합니다.

  • 결정 함수:

    • 결정 함수 ( f(x) )는 데이터 포인트가 결정 경계 안에 있는지 바깥에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 ( f(x) \geq 0 )이면 정상, ( f(x) < 0 )이면 이상으로 간주됩니다.

    • 결정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
    f(x) = \text{sgn}\left(\sum_{i=1}^{N} \alpha_i \cdot K(x_i, x) - \rho\right)
    ]

    여기서 ( K(x_i, x) )는 커널 함수(예: RBF), ( \alpha_i )는 라그랑주 승수, ( \rho )는 결정 경계의 오프셋입니다.

4) 장점, 단점, 주의 사항

  • 장점:

    • 고차원 및 비선형 데이터에서 효과적이며, 데이터의 비선형적 경계를 잘 학습합니다.
    • 이상치 탐지 성능이 매우 뛰어나며, 다양한 커널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데이터셋이 매우 크거나 고차원일 경우 계산 비용이 매우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커널 선택 및 파라미터 설정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주의 사항:

    • 커널 함수 및 하이퍼파라미터를 신중히 선택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과적합 또는 일반화 실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가 매우 불균형할 경우, 모델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요약

각 알고리즘은 특정 데이터 유형과 특성에 따라 강점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VAE는 고차원 연속형 데이터에서의 복잡한 패턴 학습에 유리하며, Isolation Forest는 고차원 데이터의 이상 탐지에서 효율적이고, One-Class SVM은 비선형 경계를 통한 이상 탐지에서 강점을 가집니다. 모든 알고리즘에서 중요한 것은 적절한 하이퍼파라미터 설정과 모델의 해석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각 알고리즘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